국가지원지방도 제32호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가지원지방도 제32호선은 대전광역시 유성구에서 경상북도 문경시를 잇는 국가지원지방도이다. 1996년 지정되었으며, 대전광역시, 충청북도, 경상북도를 경유한다. 주요 경유지로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덕구, 충청북도 청주시, 괴산군, 경상북도 상주시, 문경시가 있으며, 대전광역시 구간은 유성대로, 대덕대로, 대청로를 따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가지원지방도 제32호선 - 신문로
신문로는 대전광역시 대덕구 신탄진동에서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현도면과 상당구 문의면을 연결하는 국가지원지방도 제32호선으로, 2014년과 2017년에 구간 개통 및 확장 개통이 이루어졌다. - 국가지원지방도 제32호선 - 유성대로
유성대로는 대전광역시 유성구를 지나는 도로로, 2010년 3월 31일에 명명되었으며, 원내동, 교촌동 등 여러 지역을 경유하고 국도와 다양한 시설을 지난다. - 국가지원지방도 - 국가지원지방도 제9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97호선 번영로는 서귀포시 표선면에서 제주시 건입동을 잇는 도로로, 제주목사 행차길에서 유래하여 지방도를 거쳐 국가지원지방도로 승격되었고, 제주시와 동부 지역을 연결하는 주요 간선도로이다. - 국가지원지방도 -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0호선은 충청남도 청양군에서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까지 약 187km를 잇는 도로로, 과거 국도 승격 계획이 있었으나 재정 문제로 국가지원지방도로 지정되어 1996년 개통되었으며, 현재 충청남도,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를 연결하는 주요 간선 도로이다. - 문경시의 교통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문경시의 교통 - 점촌역
점촌역은 경상북도 문경시에 위치한 경북선의 철도역으로 1924년 영업을 시작한 지상역이며, 무궁화호가 정차하고, 옹기 및 기와 장인들의 역사에서 유래한 역명과 철도문화 체험 테마역으로 조성된 이력이 있다.
국가지원지방도 제32호선 - [지명]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국가 | 대한민국 |
노선 종류 | 국가지원지방도 |
노선 번호 | 32 |
노선 이름 | 대전 ~ 문경선 |
대체 노선 이름 | 대전-문경선 |
로마자 표기 | Daejeon-Mungyeong Line |
노선 정보 | |
총 연장 | 116.8km |
지정일 | 1996년 7월 19일 |
노선 경로 | |
기점 | 대전광역시 유성구 온천동 |
종점 | 경상북도 문경시 모전동 |
주요 경유지 | |
주요 교차 도로 |
2. 연혁
이 도로는 1994년 국도 제32호선의 연장으로 대전에서 점촌까지 계획되었으나, 국가 재정 부족으로 인해 국도로 승격되지 못하고 1996년 7월 19일에 국가지원지방도로 지정되었다.[1]
2. 1. 국가지원지방도 지정 이전
본래 국도 제32호선의 종점이 대전이었던 것을 점촌까지 연장하려는 계획안에 포함되었던 구간으로 국도 제32호선으로 지정될 예정이었으나, 국가 재정 부족으로 국도로 승격되지 못하고 국가지원지방도로 지정된 것이다.[1]
2. 2. 국가지원지방도 지정 이후
본래 국도 제32호선의 종점이 대전이었던 것을 점촌까지 연장하려는 계획안에 포함되었던 구간으로 국도 제32호선으로 지정될 예정이었으나, 국가 재정 부족으로 국도로 승격되지 못하고 국가지원지방도로 지정된 것이다.[1]
3. 주요 경유지
충청북도
경상북도
3. 1. 상세 경유지
대전광역시 구간은 유성구 죽동, 궁동, 신성동, 하기동, 자운동, 장동, 방현동, 화암동, 덕진동, 송강동, 봉산동과 대덕구 문평동, 신일동, 목상동, 석봉동, 신탄진동, 용호동, 삼정동을 지난다.
충청북도 구간은 청주시 서원구 현도면에서 대전광역시와 경계를 이루며 시작된다. 이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가덕면, 낭성면, 미원면)를 거쳐 괴산군 청천면까지 이어진다.
경상북도 구간은 상주시 화북면에서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으로 이어졌다가 다시 상주시 화북면에서 시작하여 문경시 농암면과 상주시 은척면, 이안면, 함창읍을 거쳐 문경시 모전동에서 끝난다.
3. 1. 1. 대전광역시
유성구 죽동, 궁동, 신성동, 하기동, 자운동, 장동, 방현동, 화암동, 덕진동, 송강동, 봉산동과 대덕구 문평동, 신일동, 목상동, 석봉동, 신탄진동, 용호동, 삼정동을 지난다.
이름 [2] | 한글 이름 | 접속 노선 | 위치 | 비고 | |
---|---|---|---|---|---|
구암역 IS | 구암역삼거리 | 국도 제32호선 (계룡로), 만남로 | 대전광역시 | 유성구 | 기점, 국도 제32호선 중첩 |
구암교 | 국도 제32호선 중첩 | ||||
구암교 IS | 구암교네거리 | 국도 제32호선 (현충원로) | |||
장대 IS | 장대네거리 | 장대로 | |||
궁동 IS | 궁동네거리 | 한밭대로 | |||
궁동교, 충남대학교, 대전보훈요양원 | |||||
신성교 | |||||
자운대 IS | 자운대네거리 | 신성남로, 자운로 | |||
숯골다리 | |||||
충렬사 IS | 충렬사삼거리 | 가정북로 | |||
화암 IS | 화암네거리 | 지방도 제57호선 (대덕대로), 유성대로 | 지방도 제57호선 중첩 | ||
대전전자디자인고등학교 | |||||
북대전 나들목 (북대전IC네거리) | 북대전 나들목 (북대전IC네거리) | 당진-영덕고속도로, 호남고속도로, 대덕대로989번길 | |||
이름 없음 | (이름 없음) | 배울1로 | |||
미래로 IS | 미래로네거리 | 오룡로, 테크노중앙로 | |||
한국가스기술공사 | |||||
신구교 IS | 신구교네거리 | 갑천로, 금남구즉로 | |||
신구교 | |||||
대덕구 | |||||
대덕산단 IS | 대덕산단네거리 | 문평서로, 신일서로 | |||
대덕우체국 IS | 대덕우체국네거리 | 문평동로, 신일동로 | |||
대덕경찰서 IS | 대덕경찰서네거리 | 대덕대로1417번길, 신일동로33번길 | |||
한국타이어 대전공장 | |||||
석봉 IS | 석봉네거리 | 덕암북로 | |||
신탄진초등학교 새여울분교, 신탄진굴다리 | |||||
신탄진 IS | 신탄진네거리 | 국도 제17호선 (신탄진로) | |||
신탄진용정초등학교 | |||||
대청대교 서단 | 대청대교 서단 | 대청로 | |||
대청대교 | 충청북도로 연장 |
3. 1. 2.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현도면에서 대전광역시와 경계를 이루며 시작된다. 이후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가덕면, 낭성면, 미원면)를 거쳐 괴산군 청천면까지 이어진다.이름 | 한글 이름 | 연결 | 위치 | 비고 |
---|---|---|---|---|
대청대교 | 대청대교 | 청주시 서원구 현도면 | 대전광역시 - 충청북도 경계선 | |
노산1 교차로 | 노산1 교차로 | 노산2길 | 청주시 서원구 현도면 | |
노산1교 | 노산1교 | |||
노산2 교차로 (노산2교) | 노산2 교차로 (노산2교) | 달계노산로 | ||
(생태이동통로) | (생태이동통로) | 50m 길이 | ||
하석1 교차로 (달계교) | 하석1 교차로 (달계교) | 달계하석로 | ||
하석교 | 하석교 | |||
하석2 교차로 | 하석2 교차로 | 하석1길 현도사동길 | ||
대청터널 | 대청터널 | 우측 터널: 약 1170m 좌측 터널: 약 1120m | ||
청주시 상당구 문의면 | ||||
품곡1교 | 품곡1교 | |||
품곡 교차로 | 품곡 교차로 | 덕의남계로 | ||
품곡2교 품곡3교 | 품곡2교 품곡3교 | |||
문의터널 | 문의터널 | 우측 터널: 약 510m 좌측 터널: 약 495m | ||
문산교 도당1교 도당2교 | 문산교 도당1교 도당2교 | |||
도당산 교차로 | 도당산 교차로 | 대청호반로 문의시내로 | ||
문의1교 문의2교 미천교 | 문의1교 문의2교 미천교 | |||
문의사거리 | 문의사거리 | 대청호반로 문의시내로 회남문의로 | 지방도 제509호선과 연결됨 | |
문의 나들목 (문의IC삼거리) | 문의 나들목 (문의IC삼거리) | 당진-영덕고속도로 | ||
남계2삼거리 | 남계2삼거리 | 남계길 | ||
남계1사거리 | 남계1사거리 | 국전길 국전삼항길 남계1길 | ||
남계3사거리 | 남계3사거리 | 남계3길 | 청주시 상당구 남일면 | |
화당삼거리 | 화당삼거리 | 척산화당로 | ||
화당교 | 화당교 | |||
화당2삼거리 | 화당2삼거리 | 화당길 | ||
가산삼거리 | 가산삼거리 | 가산길 | ||
고은교 | 고은교 | |||
고은사거리 | 고은사거리 | 국도 제25호선 (단재로) 고은두산로 | 국도 제25호선 중복 | |
고은삼거리 | 고은삼거리 | 고은두산로 | ||
두산삼거리 | 두산삼거리 | 국도 제25호선 (보청대로) | ||
은행삼거리 | 은행삼거리 | 계산은행로 | ||
은행교 | 은행교 | |||
문주교 | 문주교 | 청주시 상당구 가덕면 | ||
문주삼거리 | 문주삼거리 | 지방도 제509호선 (인차사동로) | ||
가덕초등학교 | 가덕초등학교 | |||
금거2리입구 | 금거2리입구 | 금거길 | ||
금거교 | 금거교 | 청주시 상당구 남성면 | ||
추정교 관정대교 | 추정교 관정대교 | |||
관정삼거리 | 관정삼거리 | 지방도 제512호선 (산성로) |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 |
미원교 | 미원교 | |||
미원사거리 | 미원사거리 | 국도 제19호선 (남부로) | 국도 제19호선 중복 | |
미원삼거리 | 미원삼거리 | 미원시내2길 | ||
미원면사무소 | 미원면사무소 | 지방도 제511호선 (미원초정로) | ||
청원도서관 미원중학교 미원초등학교 | 청원도서관 미원중학교 미원초등학교 | |||
구방삼거리 | 구방삼거리 | 국도 제19호선 (괴산로) | 괴산군 청천면 | |
청천파출소 | 청천파출소 | 청천8길 청천9길 | ||
청천면사무소 청천버스터미널 | 청천면사무소 청천버스터미널 | |||
청천사거리 | 청천사거리 | 국도 제37호선 (괴산로) 청천2길 | 국도 제37호선 중복 | |
금평삼거리 | 금평삼거리 | 국도 제37호선 (금평로) | ||
금평교 도원소교 | 금평교 도원소교 | |||
도원삼거리 | 도원삼거리 | 지방도 제533호선 (도경로) | ||
도원교 | 도원교 | |||
도원교 교차로 | 도원교 교차로 | 후평도원로 | ||
화양청소년수련원 화양제1교 | 화양청소년수련원 화양제1교 | |||
화양동입구 교차로 | 화양동입구 교차로 | 화양동길 | ||
원탑재 | 원탑재 | 해발 390m | ||
충청북도자연학습원 송면교 | 충청북도자연학습원 송면교 | |||
송면삼거리 | 송면삼거리 | 지방도 제49호선 (송문로) | 지방도 제49호선 중복 | |
송면시외버스정류장 송평교 이평공동정류소 송면중학교 | 송면시외버스정류장 송평교 이평공동정류소 송면중학교 | 지방도 제49호선 중복 경상북도로 계속됨 |
3. 1. 3.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에서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으로 이어졌다가 다시 상주시 화북면에서 시작하여 문경시 농암면과 상주시 은척면, 이안면, 함창읍을 거쳐 문경시 모전동에서 끝난다.이름[4] | 한글 이름 | 연결 | 위치 | 비고 | |
---|---|---|---|---|---|
입석리 화북초등학교 입석분교 입석보건진료소 | 입석리 화북초등학교 입석분교 입석보건진료소 | 상주시 | 화북면 | 지방도 제49호선 중복 충청북도 - 경상북도 경계 | |
(이름 없음) | 지방도 제997호선 (용화로) | 지방도 제49호선, 997호선 중복 | |||
장암 교차로 | 장암 교차로 | 문장대2길 | |||
화북초등학교 화북면사무소 | 화북초등학교 화북면사무소 | ||||
(이름 없음) | 지방도 제49호선 (문장로) | ||||
용유3교 | 용유3교 | 지방도 제997호선 중복 | |||
병천교 | 병천교 | ||||
문경시 | 농암면 | ||||
쌍용 터널 | 쌍용터널 | 지방도 제997호선 중복 약 400m | |||
STX리조트 내서4교 내서3교 내서2교 내서1교 농암초등학교 청화분교 | STX리조트 내서4교 내서3교 내서2교 내서1교 농암초등학교 청화분교 | 지방도 제997호선 중복 | |||
(이름 없음) | 지방도 제997호선 (칠봉로) | ||||
농암사거리 | 농암사거리 | 지방도 제901호선 (은성로) | 지방도 제901호선 중복 | ||
농암교 | 농암교 | ||||
사현1 교차로 | 사현1 교차로 | 지방도 제901호선 (우산로) | |||
사현2 교차로 | 사현2 교차로 | 무운오가길 | |||
사현교 | 사현교 | ||||
사현 터널 | 사현터널 | 약 180m | |||
지동 교차로 | 지동 교차로 | 지동길 | |||
지동 터널 | 지동터널 | 약 764m | |||
상주시 | 은척면 | ||||
두곡1 교차로 | 두곡1 교차로 | 무운1길 | |||
두곡2 교차로 | 두곡2 교차로 | 두곡2길 | |||
두곡3 교차로 | 두곡3 교차로 | 작약로 | |||
장암1교 | 장암1교 | ||||
이안면 | |||||
무릉 교차로 | 무릉 교차로 | 무릉1길 | |||
감암교 | 감암교 | 아천4길 | |||
아천 교차로 | 아천 교차로 | 사실로 아천2길 | |||
비고개 건천교 | 비고개 건천교 | ||||
이안 교차로 | 이안 교차로 | 양보만룡길 지너매길 | |||
교촌 교차로 | 교촌 교차로 | 교촌길 | 함창읍 | ||
함창명주박물관 | 함창명주박물관 | ||||
함창 교차로 | 함창 교차로 | 구향로 | |||
대조 교차로 | 대조 교차로 | 국도 제3호선 (문경대로) | |||
(이름 없음) | 매봉로 당교5길 | 문경시 | 모전동 | ||
문경시청 | 문경시청 | ||||
모전오거리 | 모전오거리 | 모전로 중앙로 신흥로 | 종점 | ||
4. 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32호선'''은 대전광역시 유성구 구암역 삼거리에서 시작하여 충청북도를 거쳐 경상북도 문경시 모전동 모전오거리를 잇는 국가지원지방도이다.
대전광역시 유성구 구암역 삼거리를 기점으로 유성구와 대덕구를 지난다. 대청대교를 건너 청주시 서원구 현도면으로 들어서면서 국가지원지방도 제32호선이 시작된다. 상당구 문의면을 지나 상당구 남일면에서 고은사거리에서 국도 제25호선과 교차한다. 상당구 가덕면, 낭성면을 지나 상당구 미원면에서 미원사거리와 구방삼거리에서 국도 제19호선과 교차한다. 괴산군 청천면에서는 청천사거리와 금평삼거리에서 국도 제37호선과 교차하고, 송면삼거리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과 교차한다.
경상북도 상주시 화북면 입석리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49호선과 중복되며 시작한다. 문경시 농암면을 지나 다시 상주시 은척면과 이안면을 거쳐 함창읍에서 국도 제3호선과 교차한다. 문경시 모전동에서 모전로, 중앙로, 신흥로와 교차하며 끝난다.
4. 1. 대전광역시
(한밭대로)(신성교)
노은로
자운로
(대덕대로)
유성대로
(북대전IC네거리)
대덕대로989번길
(배울1로)
테크노중앙로
금남구죽로
신일서로
신일동로
신일동로33번길
신탄진굴다리
(신탄진로)